EU와 ASIA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
Lessons from the EU 입니다.
Terk 교수는 아직 한국에 낯선 에스토니아에 대한 간략한 소개로 강의를 시작하면서, 에스토니아가 어떻게 소련 붕괴 이후 성공적으로 자본주의로의 전환에 진입했는지 설명하였다. 구소련 이후 가장 성공적으로 자본주의에 진입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에스토니아의 성장 원동력은 자유로움, 개방성, 다원주의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교수는 에스토니아의 시기별 주요 전략적 변화를 열거함으로써 정치사회적 변화 및 국제정세의 흐름에 발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국가 경제 발전에 중요한 문제임을 강조했다.
한편 에스토니아의 빠른 성장으로 인한 산업분야의 고용 불안 및 농업 분야의 혼란, 높아진 개방성으로 인한 국제경제 민감도 증가 등 성장의 대가로 치루는 문제점들 또한 열거함으로써 성장과 안정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관련된 사항으로 에스토니아의 조세 제도, 정치적 발전과 경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면서 경제적 성장에는 정치적 환경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주었다.
마지막으로는 에스토니아가 미래에 어떤 도전을 해야 할지 세 가지 영역에서 제시하였다. 혁신 기반의 경제 체제 창조, 인적 자원의 한계 관리와 젊은이들이 해외에서 돌아와 능력을 펼칠 수 있는 기반 마련, 동아시아를 포함한 시장 개척 등이다.